고려시대 무신정변은 고려 시대의 중대한 정치적 사건으로, 1170년에 발생했습니다.
배경
고려 시대 초부터 문신에 비해 무신들은 사회적 지위와 정치적 권력을 낮게 가지고 있었습니다. 무신들은 주로 군사적 역할을 담당했으며 문신들에 의해 통제되고 억압받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무신들 사이에서 점점 불만을 쌓이게 했고, 결국 12세기 중반에 이르러 무신들의 반발심이 극에 달하게 되었습니다.
전개
1170년(의종 24년)에 주요 인물인 정중부, 이의방, 이고, 채충순 등에 의해 무신정변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당시 의종이 친히 주관한 군사 훈련 중 무신들이 문신들에 의해 공개적으로 모욕을 당하게되고, 이 사건으로 무신들은 폭동의 계기를 다짐하게 됩니다.
- 무신들의 봉기
무신 정중부 및 이의방 등을 중심으로 의종을 퇴위시키며, 새로운 왕으로 명종을 임금으로 모시게됩니다. - 무신에 의한 문신들을 숙청
무신정변으로 인해 많은 문신들이 살해되거나 축출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무신들은 권력을 장악하게 되면서 무신정변 이후 고려의 정치는 크게 변화하게 됩니다. - 무신 정권의 성립
반대하는 문신들을 모두 축출하고 그자리를 무신들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하게 되면서 이후 약 100년간 무신들이 고려의 정치를 주도하게 되었습니다. - 사회적 불안과 혼란
정변 이후 사회적 불안과 혼란이 지속되고, 무신들 사이의 권력 다툼과 농민 봉기 등 여러 사회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무신중심의 군사정권
무신들이 권력을 잡으면서 문화적으로도 변화도 크게 일어나는데 문신 중심의 문치주의에서 무신 중심의 군사 정권으로의 변화됩니다. 이로 인해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큰 변화를 일어나게 됩니다.
설명
고려의 지배층은 문신과 무신이 있었습니다. 당시 과적제도와 유교주의의 영향으로 무신보다 문신의 지위가 높아졌습니다. 성종 이후 거란, 여진 등 북방민족이 침입했을 때도 문신이 최고지휘관이었고, 무신은 그 아래에서 지휘를 받았습니다.
목종 1년(998년)에는 무관의 품계를 낮추었고, 현종 5년(1014년)에는 문신 황보 유의가 문신에게 줄 녹봉이 부족하다고 하여 경군에게 지급할 영업터를 박탈하자, 무신 최질, 김훈 등이 격분하여 반기를 들고 황보 유의, 장연우 등을 귀양 보내고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결국 왕가도에게 피살당하고 말았습니다.
인종 때는 무신 교육기관인 무학재를 폐지했으며, 의종은 향락생활에 도취하여 문신의 지위는 무신에 비해 높아만 갔습니다. 문신이 무신을 모욕 주는 일이 종종 일어나자 무신 정중부는 분노하여 이의방, 이고 등과 함께 문신들을 살해하고 의종을 폐하여 거제도로 보냈으며, 왕의 동생을 왕으로 맞이했는데 이가 바로 명종입니다.
무신정변은 고려 역사에서 중요한 분수령 중 하나로 평가되며, 이후 고려의 정치적 구조와 사회적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